원코인(OneCoin)
2015년경 국내에 처음으로 퍼지기 시작한 폰지사기로
암호화폐로 홍보되었으나 리더가 사기 혐의로 미국에서 기소된 프로젝트이다
해외에서는 첫시작을 2014년에 시작했으며
원코인 본사는 불가리아 지브랄타에 위치하며, 전산과 고객 서비스 부서는 불가리아 소피아에 위치하고 있다
암호화폐 역사상 가장 큰 사기규모이며 전세계를 상대로 한 폰지사기이다.
정확한 피해규모는 추합되지 않았으나
1개 대륙에서만 피해규모가 4조원 이상 추정된다 하니
폰지사기와 가상화폐 사기 판매방식과 수사 특성상
수면위로 드러나지 않은 피해자들까지 고려 영국 BBC방송국의 추정치로 보면 전세계 대상으로 약 10조 이상으로 역대급 스케일이다
(코인텔레그래프는 영국 BBC 프로그램 '사라진 암호화폐 여왕'(The Missing Cryptoqueen) 중 일부를 인용해 "3대 암호화폐 스캠 중 하나인 원코인(OneCoin) 프로젝트의 총 피해 규모는 미국 법원이 발표한 추정치의 3~4배 수준에 육박한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이는 비트코인 2015년부터 2019년까지의 열풍이 더해져 피해규모는 눈덩이 처럼 불어났다.
시가총액이 2017년 당시 비트코인의 3배의 육박한 것은 그만큼 투자자들의 금액을 모았다는 뜻이다.
그런데 2014년 루자 이그나토바는 원코인을 창립한 후, 2017년 말 돌연 잠적하기에 이른다
암호화폐 창시자가 잠적했을 당시 각국에서 사기의혹에 대한 경고와 투자주의가 내려지고 있었으나
유사수신 행위를 한 사기꾼들의 호재성 홍보성 기사도배와 블로그 홍보, 투자설명회가 훨씬 많이 노출되고 있어
피해자과 피해액은 전혀 줄어들지 못했다
원코인의 로고
원코인 주요인물
설립자
루자이그나토바(Ruja Ignatova)
공동 설립자 및 동업자
콘스탄틴 이그나토바(Constantine Ignatova)
루자 이그나토바의 남동생 루자이그나토바가 잠적하자 원코인을 이끌다가 미국 LA공항에서 체포되었다.
설명회를 하는 콘스탄틴
원코인의 사업모델
원코인의 생태계
원코인은 기본적으로 투자자들에게 다단계방식의 판매로 투자자를 끌어모았고
ICO에서 토큰1개당 35000원에 판매되었다.
이 토큰(코인)이 저 사업모델들과 생태계에 쓰여지고 기존 화폐의 지불방식의 기축통화가 원코인과 비트코인 더 나아가 원코인이
금과 같은 화폐가 될것이라며 투자자를 유치했다
이는 그녀의 약력과 경력이 판매에 큰 도움이 되었으며 그녀도 영리하게 이를 잘 이용했다
원코인의 현재
원코인의 홈페이지는 현재 피싱사이트로 구분되어 차단되었다
ㄱ.유럽인터넷도메인등록기구(EURid)는 법률 수사로 인해 해당 도메인 접속이 차단된 상태이다.
ㄴ.2019년 3월10일 연방 뉴욕남부지검에 따르면 원코인사의 리더인 콘스탄틴 이그나토브(바)를 지난 6일 LA 국제공항에서 체포돼
송금사기와 증권사기, 자금세탁 혐의 등으로 기소됐다.
이그나토브(바)는 이날 연방 캘리포니아 중부지법에서 인정신문 후 구금됐다.
그는 피고가 유죄를 인정하는 대가로 검찰이 형을 감면해주는 플리바게닝(사전형량조정제) 문서에 서명했다. 검찰은 추가 형사 고발을 하지
않을 계획이지만, 사기죄가 확정되면 최대 90년의 징역형 선고를 받을수있으며
플리바게닝 서명으로 20년형으로 감형 받을것이란 평이 있다
(플리바게닝이란 피고가 혐의를 인정하거나 공모자에 대해 증언하는 대신 검찰이 형량을 낮추거나 가벼운 죄목으로 기소하는 것을 뜻한다)
ㄷ.블룸버그에 따르면 미국 뉴욕 맨해튼 현지 검찰은 미국 변호사 마크 스콧이 가상화폐 원코인을 매개로 돈세탁을 해준 혐의를 받고 있다. 마크스콧은 호화요트와 호화저택 슈퍼카3대를 소유하며 호화로운 생활을 보냈고 그가 600억 가량의 대가를 약속 받은것으로 판단했다.
ㄹ.루자와 콘스탄틴 이그나토바는 금(金) 담보 토큰인 캐럿골드코인(KBC)도 사기 의혹을 받고 있다
블록체인 결제시스템 제공업체인 캐럿비트 재단은 전세계 50만개 지점과 암호화폐 거래소 10곳에서 KBC로 금과 금 상품을 거래할 수 있고
주장해왔다.
캐럿비트는 토큰 가치를 보장하기 위해 9억 유로 상당의 금광 지분을 소유하고 있다고 주장하지만 실제로 이를 증명한 적은 없었다. 또한 축구 스타인 로타어 마테우스, 호베르투 카를루스, 파트릭 클라위버르트 사진을 홍보에 무단 사용한 점도 확인됐다.
원코인에 역사나 기초자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각종 지식백과 (위키리스트 등) 에 서술되어 있으나 아쉬운점은 국내 피해 상황은 자세히 서술하지 않고 있고 대부분 해외에 대한 자료이다 그도 그럴것이 워낙 피해규모가 크고 전세계를 대상으로 한 프로젝트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국내 피해자 또한 상당하며 피해자 관점에 대한 내용이 빠져있다는 점이 이번 포스팅의 주된 이유이다.
2편에선 국내에 대한 내용으로 포스팅하려한다
원코인 사기 국내 피해상황,피해자들 (2) | 2020.10.13 |
---|
댓글 영역